본문 바로가기
카테고리 없음

2025년 최저시급 & 주휴수당 포함 시급 계산 바로가기– 실수령액 & 세금 정리

by 노마드 비비빅 2025. 2. 14.
반응형

시급계산기

2025.01.24 - [분류 전체보기] - 2025년 법정 최저임금, 평균 연봉, 실수령액

2025년 최저시급 기준 주휴수당 포함 시급 계산

 

기본 시급: 10,150원
주휴수당 포함 시 실제 시급:
(10,150원 × 8시간 × 5일) ÷ 5일 + 주휴수당
주휴수당 = 10,150원 × 8시간 = 81,200원 (주 15시간 이상 근무 시 지급)

 

주휴수당은 '주 15시간 이상' 근무 시 발생하며, 주 5일 근무 기준 1일치 추가 수당이 포함된다.

 

 2025년 최저시급 기준 월급 계산 (주 5일, 8시간 근무 기준)

세전 월급 (주휴수당 포함)
10,150원 × 8시간 × 5일 × 4.345주 = 1,969,000원

 

4대 보험 공제 후 세후 실수령액 (약 9% 공제 예상)
예시>

국민연금(4.5%) = 약 88,600원
건강보험(3.545%) = 약 69,800원
장기요양보험(건강보험료의 12.81%) = 약 8,900원
고용보험(0.9%) = 약 17,700원

 

 실수령액 월급 계산기 바로가기 ▶

총 공제 금액:185,000원
세후 실수령액: 약 1,784,000원

 

4대 보험 공제 금액은 개인 상황(부양가족, 기타 소득)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참고용으로 계산해야 한다.

 4대 보험 & 3.3% 세금 차이 – 언제 적용될까?

4대 보험 적용 대상
주 15시간 이상 근무하는 정규직·계약직·아르바이트 직원
✔ 퇴직금, 실업급여, 건강보험 혜택 가능

 

3.3% 사업소득세 적용 대상
프리랜서·단기 근무 아르바이트·일용직 근로자
✔ 근로소득이 아닌 사업소득으로 신고됨
✔ 연말정산 또는 종합소득세 신고 시 환급 가능

 

 홈텍스 소득세 & 4대보험 조회 바로가기 ▶

 

일반 근로자는 4대 보험 공제, 프리랜서는 3.3% 세금 적용되므로 계약서를 확인하는 것이 중요하다.

2025년 최저시급을 기준으로 실제 월급과 세후 실수령액을 확인하고, 주휴수당까지 꼼꼼히 체크하는 것이 중요하다. 

반응형